생물체에 뼈나 줄기 같은 단단한 부분이 있으면 유리하고, 생물체가 분해되기 전에 빨리 묻혀야 하며, 퇴적암이 생성된 후 심한 지각 변동이나 변성 작용을 받지 않아야 한다.
표준 화석 | 시상 화석 |
1. 지질 시대 중 일정 기간에만 번성했다가 멸종한 생물의 화석으로, 지질 시대 결정과 지층 대비에 이용된다. 2. 조건 : 생존 기간이 짧고, 분포 면적이 넓으며, 개체수가 많아야 한다. 예) 삼엽충 : 고생대, 암모나이트 : 중생대, 매머드 : 신생대 |
1. 특정 환경에서만 서식하는 생물의 화석으로, 생물이 살았던 시기의 환경을 추정하는 데 이용된다. 2. 조건 : 생존 기간이 길고, 분포 면적이 좁으며, 환경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예) 고사리 : 따듯하고 습한 육지, 산호 : 따듯하고 얕은 바다 |
지구가 탄생한 약 46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를 지질 시대라고 한다.
① 지질 시대의 구분 기준 : 생물계에서 일어난 급겨한 변화나 지각 변동, 기후 변동 등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② 지질 시대의 구분 단위 : 누대(累代), 대(代), 기(紀) 등으로 구분한다.
▶ 시생 누대와 원생 누대는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현생 누대는 화석이 비교적 풍부하여 많이 산출된다. 현생 누대는 생물의 출현과 진화 등 생물계에 큰 변화가 나타난 시기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① 고기후 연구 방법
② 지질 시대의 기후 : 원생 누대와 고생대 및 신생대에는 빙하기가 있었으며, 중생대에는 빙하기 없이 대체로 온난했다.
① 선캄브리아 시대의 환경과 생물 : 오랫동안 여러 차례의 지각 변동을 받으면서 대부분의 기록이 사라졌기 때문에 환경을 알기 어렵다.
② 고생대의 환경과 생물
환경
생물
③ 중생대의 환경과 생물
환경
생물
④ 신생대의 환경과 생물
환경
생물
대기의 변화_태풍과 날씨 (0) | 2020.06.09 |
---|---|
대기의 변화_기압과 날씨 변화 (0) | 2020.06.08 |
지구의 역사_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 (1) | 2020.06.05 |
지구의 역사_지층의 생성 순서 (0) | 2020.06.04 |
퇴적암과 지질구조_지질 구조 (0) | 202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