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의 변화_태풍과 날씨

IN투야의 관심사 주제 블로그

728x90
반응형

2. 태풍과 날씨

(1) 태풍 :

강한 바람과 비를 동반하는 기상 현상으로, 수온이 약 27℃ 이상인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여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17m/s 이상으로 성장한 열대 저기압을 말한다.

 

(2) 열대 저기압(태풍)의 발생 지역 :

태풍은 위도 5º ~ 25º의 열대 새상에서 주로 발생한다. 위도 25º이상인 해역에서는표층수온이 낮아서 발생하기 어렵고, 적도 부근 해역에서는 전향력이 약해 태풍이 회전하는 데 필요한 힘을 얻지 못하므로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남반구 해역보다 북반구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무역풍의 영향으로 표층 수온이 높은 서태평양이 동태평양보다 발생 빈도가 높다.

 

※ 숨은열

물질의 상태가 변하는 과정에서 방출하거나 흡수라는 열로 잠열이라고도 한다.

 

(3) 태풍의 이동과 피해

① 태풍의 진로 : 태풍의 진로는 대기 대순환의 바람과 주변 기압 배치의 영향을 받는다. 즉, 발생 초기에는 무역풍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북서쪽으로 진행하다가 북위 25º ~ 30º 부근에서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진로를 바꾸어 북동쪽으로 진행하는 포물선 궤도를 그린다. 태풍이 진로를 바꾸는 위치를 전향점이라고 하는데, 전햔점을 지난 후에는 태풍의 진행 방향과 편서풍의 방향이 일치하여 이동 속도가 대체로 빨라진다.

 

② 태풍의 피해

  • 위험 반원과 안전 반원(가항 반원) : 북반구에서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 지역은 태풍의 이동 방향이 태풍 내 바람 방향과 같아 풍속이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위험 반원이라고 하며, 태풍 진행 방향의 왼쪽 지역은 태풍의 이동 방향이 태풍 내 바람 방향과 반대여서 풍속이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안전 반원이라고 한다.
  • 태풍이 통과하면 강품, 호우, 홍수, 침수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태풍에 의해 발생한 해일이 조석의 만조와 겹치면 해안 지역의 치수 피해가 커질 수 있다.

※ 대기 대순환

위도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양과 지구 복사 에너지양의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 지구 규모의 대기 순환을 말한다.

 

※ 무역풍

적도와 위도 30º 사이의 저위도에서 부는 동풍 계열의 바람이다.

 

※ 편서풍

위도 30º와 60º 사이의 중위도에서 부는 서풍 계열의 바람이다.

 

(4) 태풍 구조와 날씨

① 태풍의 구조 : 태풍은 반지름이 약 500km에 이르고, 전체적으로 상승 기류가 발달하여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운 적운형 구름이 형성된다. 중심부로 갈수록 바람이 강해지다가 태풍의 눈에서 약해지며, 중심으로 갈수록 기압은 계속 낮아진다.

 

② 태풍의 눈 : 발달한 태풍에서 나타나며, 태풍 중심으로부터 약 50km에 이르는 지역으로 약한 하강 기류가 나타나 날씨가 말고 바람이 약하다.

 

※ 태풍의 눈

태풍의 눈에서는 약한 하강 기류가 나타나지만, 중심 기압은 주변보다 낮다.

 

※ 지구 시스템 구성 권역의 상호 작용으로서의 태풍

태풍의 발생과 성장에 관여하는 에너지원은 수증기의 잠열이므로, 태풍의 발생은 기권과 수권의 상호 작용에 해당하며, 태풍의 강한 바람이 표층 해수를 혼합시키고 용승을 활발하게 하여 표층 해수에 영향 염류를 공급하기도 하므로 기권과 수권 및 생물권의 상호 작용이기도 하다. 또한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기권과 지권이 상호 작용을 통해 태풍의 세력이 약해지거나 소멸한다.

 

(5) 태풍의 에너지원과 소멸

① 태풍의 에너지원 : 태풍은 상승하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잠열(숨은열, 응결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계속 가열하므로 가열된 공기는 대류권 계면 부근까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태풍이 크게 성장하려면 지속적인 수증기의 공급이 필요하다.

 

② 태풍의 소멸 : 태풍의 세력이 유지되거나 더  강하게 발달하려면 지속적인 에너지(수증기) 공급이 필요한데 태풍이 차가운 바다 위를 지나거나 육지에 상륙하면 열과 수증기를 더 이상 공급받지 못하므로 세력이 약해진다. 또한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지표면과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력이 급격히 약해진다.

 

(6) 태풍의 진행 경로에 따른 풍향 변화 :

태풍 주변에서는 공기가 저기압성 회전을 하면서 바람이 불게 되므로, 북반구에서는 기압이 낮은 중심부를 향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간다. 따라서 태풍 진행 경로의 오른쪽(위험 반원)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계 방향으로 변하고, 태풍 진행 경로의 왼쪽(안전 반원)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변한다.

 

(7)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태풍)

①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저기압에는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이 있는데, 온대 저기압은 주로 봄철과 가을철에 영향을 미치고 열대 저기압은 주로 여름철에 영향을 미친다.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은 모두 저기압이므로 북반구에서는 공기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렴한다.

 

②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의 비교

구분 온대 저기압 열대 저기압
발생 지역 한대 전선대 위도 5º ~ 20º의 열대 해상
전선의 유무 전선을 동반한다. 전선을 동반하지 않는다.
등압선의 형태 등압선 간격이 열대 저기압보다 넓은 편이며 원형이 아니다. 등압선 간격이 온대 저기압보다 좁고 우너형에 가깝다.
풍속 풍속이 열대 저기압보다 약하다. 중심부와 주변부의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풍속이 온대 저기압보다 매우 강하다. 중심 부근의 풍속이 주변부보다 강하다.
강수 지역 온난 전선 전면과 한랭 전선 후면에서 강수 현상이 있다. 나선형의 구름대를 따라 강수 현상이 있다.
이동 경로 주로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동쪽으로 이동한다. 주로 북지(북반구)하는데, 무역풍과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북서쪽으로 이동하다가 전향하여 북동쪽으로 이동한다.
에너지원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는 전선에서의 기단의 위치 에너지아 수증기의 잠열(숨은열) 따뜻한 해양에서 공급된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방출하는 잠열(숨은열)

※ 한대 전선대

한대 기단과 중위도 기단 사이, 위도 약 60º 부근에 형성되는 저압대를 한대 전선대라고 한다.

 

※ 등압선과 풍속

등압선의 간격이 조밀할수록 기압차가 크므로 풍속이 크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