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덩어리가 외부와의 열 교환 없이 주위 기압 변화에 의한 부피 변화로 인해 공기 덩어리 내부의 온도가 변하는 현상
① 단열 팽창 :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주위 기압이 낮으므로 공기 덩어리가 팽창하면서 주변 공기에 일을 하고, 내부 에너지가 감소하여 온도가 낮아진다.
② 단열 압축 : 공기 덩어리가 하강하면 주위 기압이 높으므로 공기 덩어리가 압축되면서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여 온도가 높아진다.
단열 변화에 의해 높이에 따라 공기 덩어리 내부의 온도가 변하는 비율
① 건조 단열 감률 : 부포화 상태인 공기 덩어리가 단열 변화할 때의 온도 변화율로, 불포화 상태인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여 팽창하면 1km마다 기온이 약 10℃씩 낮아지고, 반대로 공기 덩어리가 하강하여 압축되면 1km마다 기온이 약 10℃씩 높아진다. ▶ 약 10℃/km
② 습윤 단열 감률 : 포화 상태인 공기 덩어리가 단열 변화할 때의 온도 변화율로, 포화 상태인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여 팽창하면 숨은열(잠열) 방출로 인해 불포화 상태일 떄보다 온도 감소폭이 작게 되어 1km마다 기온이 약 5℃씩 낮아진다. ▶ 약 5℃/km
③ 이슬점 감률 : 공기 덩어리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의 이슬점 변화율
▶ 불포화 상태인 공기의 이슬점 감률은 약 2℃이고, 포화 상태인 공기의 이슬점 감률은 약 5℃/km이다.
※ 내부 에너지
물체를 구성하는 분자나 원자의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의 총합으로,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면 온도가 높아지고 내부 에너지가 감소하면 온도가 낮아진다.
※ 단열 감률
단열 변화에 의해 높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공기의 온도가 변하는 비율로, 불포화 상태의 공기는 건조 단열 감률인 약 10℃/km, 포화 상태의 공기는 슴윤 단열 감률인 약 5℃/km로 단열 변화한다.
공기 덩어리가 단열 상승하여 구름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고도
▶ 상승 승결 고도(H)는 공기 덩어리의 상대 습도가 낮을수록, 즉(기온 - 이슬점) 값이 클수록 높다.
산 사면을 따라 공기 덩어리가 상승할 때에는 단열 팽창이 일어나서 상승 응결 고도 이상에서는 구름이 생성되어 비가 내리고, 산 정상을 넘어 하강할 때는 단열 압축이 일어나므로, 산을 넘기 전에 비하여 고온 건조한 상태가 되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높새바람이 대표적인 예이다.
▶ 산을 넘는 동안 구름이 생성된다면 산을 넘은 후 공기는 산을 넘기 전 공기와 비교했을때 기온 상승, 이슬점 하강, 상대 습도 감소, 절대 습도 감소
구간 | 포화 여부 | 기온 변화 | 이슬점 변화 | 상대 습도 | 절대 습도 |
A -> B | 불포화 상태 | 약 10℃/km 하강 | 약 2℃/km 하강 | 증가 | 감소 |
B -> C | 포화 상태 | 약5℃/km 하강 | 약 5℃/km 하강 | 100%로 일정 | 크게 감소 |
C -> D | 불포화 상태 | 약 10℃/km 상승 | 약 2℃/km 상승 | 감소 증가 |
※ 상승 응결 고도
불포화 상태의 공기 덩어리가 단열 상승하여 구름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고도
※ 단열 변화에서 상대 습도 변화
수증기를 포함한 불포화 상태의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기온과 이슬점 차이가 줄어들면서 상대습도는 증가한다. 공기 덩어리가 상승 응결 고도에 도달하면 상대 습도는 100%가 되고, 이후 계속 상승한다면 수증기가 응결하는 동안 상대 습도는 100%를 유지한다.
※ 높새바람
우리나라에서 늦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동해안에서 태백산맥을 넘어 서쪽 서면으로 부는 북동 계열의 바람
① 안정 : 기온 감률 < 단열 감률 ▶ 공기의 연직 운동이 억제되어 대류가 잘 일어나지 않으며, 댁 ㅣ오염 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고, 층운형 구름이 생성될 수 있다.
② 불안정 : 기온 감률 > 단열 감률 ▶ 공기의 연직 운동이 활발하여 대류가 잘 일어나고, 대기 오염 물질이 잘 퍼져 나가며, 적운형 구름이 생성될 수 있다.
③ 중립 : 기온 감률 = 단열 감률 ▶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공기 덩어리의 온도가 주위 기온과 같아 져서 이동한 높이에 그대로 있으려 하고, 공기의 대류가 약하며, 대기의 혼합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 기온 감률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비율로, 대류권의 평균 기온 감률은 6.5℃/km이다.
하층의 공기 온도가 상층의 공기 온도보다 낮아져 안정한 상태의 기층
▶ 공기의 상승이나 하강 운동이 억제된다,
① 복사 냉각에 의한 역전층 형성 : 기온의 일교차가 크고, 바람이 불지 않는 맑은 날 새벽에 지표면의 복사 냉각에 의해 형성된다.
② 기상 현상 : 지표 부근에는 안개가 생길 수 있고, 도시에서는 스모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③ 대기 오염 물질의 이동 : 역전층은 절대 안정 상태이므로 공기의 연직 운동이 일어나지 않아 대기 오염 물질이 위아래로 퍼져 나가지 않아서 지표 부근에 쌓이게 된다.
① 적운의 생성 : 지표면 부근의 공기가 부분적으로 가열되어 같은 높이의 주위 공기보다 가벼워지면 상승하기 시작한다. -> 기온은 건조 단열선을 따라 낮아지고 이슬점은 이슬점 감률선을 따라 낮아진다. ->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기온과 이슬점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어 상대 습도가 높아지다가 상승 응결 고도에 도달하면 포화 상태가 되어 응결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 상승 응결 고도에 도달하여 구름이 생성되기 시작한 고익 덩어리가 주위 공기보다 온도가 높으면 습윤 단열선을 따라 온도가 낮아지면서 공기 덩어리가 계속 상승한다. -> 상승하는 공기 덩어리의 온도가 주위 공기의 온도와 같아지는 지점에 도달하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므로 습윤 단열선 구간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진 적운형 구름을 형성 한다.
② 층운의 생성 : 지표면 부근의 공기가 부분적으로 가열되어 같은 높이의 주위 공기보다 가벼워지면 상승하기 시작한다. -> 1km 상공에서 포화된 공기 덩어리가 상승할 때, 주변 공기보다 온도가 낮으므로 상승이 억제되어 옆으로 퍼진 모양의 층운형 구름을 형성한다.
※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 구름과 안개의 차이점
일반적으로 구름은 상공에서 수증기의 응결이 일어나 만들어진 물방울과 작은 얼음 알갱이의 무리를 의미하고, 안개는 지표 부근에서 수증기가 응결해 만들어진 것을 의미한다.
종류 | 생성 원리 | |
공기의 냉각에 의해 생성되는 안개 | 복사 안개 | 복사 냉각에 의해 지표면 기온이 하강할 때 생성 |
이류 안개 | 온난 습윤한 공기가 차가운 지표나 해수 위로 이동할 대 생성 예) 바다 안개(해무) | |
활승 안개 | 지형을 따라 공기가 상승하여 냉각되면서 생성 | |
수증기량의 증가에 의해 생성되는 안개 | 전선 안개 | 전선 부근에서 약한 비가 내려 수증기가 증발할 때 생성 |
증발 안개 | 따뜻한 수면에서 물이 증발할 때 생성 |
대기의 운동과 대기 대순환_편서풍 파동과 제트류 (0) | 2020.07.17 |
---|---|
대기의 운동과 대기 대순환_대기를 움직이는 힘 (0) | 2020.07.15 |
해수의 운동과 순환_해파 (0) | 2020.07.13 |
해수의 운동과 순환_에크만 수송과 지형류 (0) | 2020.07.12 |
해수의 운동과 순환_해수를 움직이는 힘 (0) | 2020.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