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외부 은하의 스펙트럼 관측 : 멀리 있는 외부 은하들의 스펙트럼을 관측하면 대부분 흡수선들의 위치가 원래 위치보다 파장이 긴 적색 쪽으로 이동하는 적색 편이가 나타난다.
▶ 적색 편이는 외부 은하가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질 때 나타난다.
② 외부 은하의 스펙트럼 관측과 후퇴 속도 :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υ)와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Δλ=관측파장-원래 파장)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υ = c x (Δλ/λ) ( c : 빛의 속도, λ : 원래의 흡수선 파장, Δλ :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
허블은 거리가 알려진 외부 은하들의 적색 편이를 측정하여 은하들의 후퇴 속도와 거리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은하들의 후퇴 속도가(υ)가 거리(r)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으며, 이 관계를 허블 법칙이라고 한다.
▶ υ = H · r ( H : 허블 상수 )
※ 허블 상수(H)
은하까지의 거리와 후퇴 속도가 비례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상수로 약 68km/s/Mpc이다.
① 외부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의 관계식에서 허블 상수(H)는 1Mpc당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km/s)를 나타내는 값이다.
② 우주의 나이(t) : 우주가 일정한 속도로 팽창한 것으로 가정할 때 허블 법칙으로부터 우주의 나이는
t = r/υ = r/H·r = 1/H 로 구할 수 있다. 현재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 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③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 : 우주의 크기 (r) = c/H ( c : 빛의 속도 )
▶ 우주의 크기는 빛의 속도로 멀어지는 은하까지의 거리에 해당한다.
④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빠르게 멀어지는 현상은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우주의 중심
은하들이 서로 멀어지는 우주에서는 어떤 은하에서 보더라도 은하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한 점으로 우주의 중심을 정할 수 없다.
※ 등방성
우주를 관측할 때 방향에 따라 물질의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는 성질이다.
① 빅뱅 우주론 : 우주의 모든 물질과 에너지가 매우 작고 뜨거운 한 점에 모여 있다가 대폭발이 일어난 후 팽창하면서 냉각되어 현재와 같은 우주가 생성되었다는 이론이다.
② 빅뱅 우주론은 우주의 물질이 균일하고 등방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우주론의 원리와 중력의 원리를 설명하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기반하고 있다.
구분 | 빅뱅 우주론 | 정상 우주론 |
우주의 팽창 여부 | 팽창 | 팽창 |
우주의 질량 | 일정 | 증가 |
우주의 밀도 | 감소 | 일정 |
우주의 온도 | 감소 | 일정 |
특징 | 온도와 밀도가 매우 높은 산 점에서 대폭발이 일어난 후 점차 팽창한다. | 우주가 팽창하면서 생겨난 빈 공간을 같은 밀도로 채우기 위해 새로운 물질이 계속 만들어진다. |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은 과거에는 우주의 크기가 매우 작고 뜨거웠다는 사실을 암시하기 때문에 빅뱅 우주론의 가정과 잘 들어맞는다.
① 가벼운 원소의 비율 :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초기 우주는 매우 뜨거워 빅뱅 약 1초 후 우주의 온도는 약 100억 K에 달했으며 양성자, 전자, 중성자 등의 입자들이 모두 뒤엉켜 있었다. 이후 우주가 식으면서 중성자는 양성자와 결합해 중수소가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중수소의 대부분은 빅뱅 이후 처음 약 3분 동안에 헬륨핵으로 합성되었고 소량의 리튬도 만들어졌다.
▶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암흑 물질을 제외한 보통 물질)의 약 24%가 헬륨으로 이루어져야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약 3 : 1이 되는데, 이 예측은 관측 결과와 잘 들어맞는다.
※ 증수소
수소의 동위 원소 중 하나로, 원자핵이 양성자 1개와 중성자 1개로 구성된 원소이다.
② 우주 배경 복사
※ 우주 배경 복사
우주 온도가 약 3000 K일 때 방출된 복사로,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 파장이 길어져 현재는 온도가 약 2.7K인 복사로 관측된다.
지구의 형성과 역장_지구의 탄생 진화 (0) | 2020.07.01 |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_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0) | 2020.06.30 |
외부 은하와 우주 팽창_외부 은하 (0) | 2020.06.28 |
외계행성계와 외계 생명체탐자_외계생명체 탐사2 (0) | 2020.06.27 |
외계행성계와 외계 생명체탐사_외계행성계 탐사 (0) | 202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