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의 변화_해수의 표층 순환

IN투야의 관심사 주제 블로그

728x90
반응형

2. 해수의 표층 순환

(1) 대기 대순환

① 지구의 복사 평형 : 지구는 흡수한 태양 복사 에너지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므로 지구의 평균 기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② 위도에 따른 열수지 : 위도에 따라 태양 복사 에너지의 흡수량과 지구 복사 에너지의 방출향이 차이가 난다.

  • 저위도 지방(적도 ~ 위도 약 38º)에서는 에너지가 남고, 고위도 지방(위도 약 38º ~ 극)에서는 에너지가 부족하다. ▶ 복사 평형 상태일 때 에너지 과잉량과 부족량의 크기는 같다.
  • 대기와 해수의 순환 :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를 에너지가 부족한 고위도로 운반한다.

③ 대기 대순환의 원인 : 지구 규모의 열에너지 이동을 일으키는 가장 큰 규모의 대기 순환으로, 위도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과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 차이에서 비롯된 에너지 불균형이 대기 대순환의 원인이다.

 



(2) 대기 대순환 모형

① 단일 세포 순환 모형(지표면이 균일하고 자전하지 않는 지구) : 적도 지방에는 상승 기류가, 극지방에는 하강 기류가 발달하여 북반구 지상에는 북풍만, 남반구 지상에는 남풍만 분다.

 

② 대기 대순환 모형(자전하는 지구) :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의 영향으로 각 반구에 3개의 순환 세포가 형성된다.

  • 해들리 순환 : 적도 지방에서 공기가 상승하여 고위도로 이동한 다음 위도 30º 부근에서 하간하여 다시 적도 지방으로 되돌아온다. 이때 적도 지방에서는 열대 수렴대(적도 저압대)를 형성하고, 위도 30º 부근에서는 아열대 고압대(중위도 고압대)를 형성한다.
  • 페렐 순환 : 위도 30º 부근에서 공기가 하강하여 고위도로 이동한 다음 위도 60º 부근에서 상승한다.
  • 극순환 : 극지방에서 공기가 하강하여 저위도로 이동한 다음 위도 60º 부근에서 상승한다. 페렐 순환과 극순환이 만나는 위도 60º 부근에서는 한대 전선대를 형성한다.

③ 직접 순환과 간접 순환 :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은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거나 냉각된 공기가 하강하면서 만들어진 열적 순환으로 직접 순환에 해당한다. 이해 비해 위도 30º ~ 60º 사이의 페렐 순환은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 사이에서 형성된 간접 순환이다.

 

※ 전향력

자전하는 지구에서 운동하는 물체에 나타나는 가상의 힘으로 북반구에서는 물체가 운동하는 방향의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물체가 운동하는 방향의 왼쪽으로 작용한다.

 

※ 대기 대순환

지구의 실제 대기 대순환은 지구 자전뿐만 아니라 대륙과 해양의 분포 등에 의해 이론적인 모형보다 훨씬 복잡하게 나타난다.

 

(3) 해수의 표층 순환 :

표층 해류는 육지로 가로막힌 대양 안에서 몇 개의 거대한 순환을 이루고 있으며, 적도 부근을 경계로 북반구와 남반구가 대체로 대칭적인 분포를 보인다.

 

① 해양은 대륙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동서 방향으로 흐르던 해류가 대륙과 부딪혀 남북 방행으로 갈라져 흐르면서 순환을 이룬다.

 

② 표층 순환은 적도 부근을 경계로 북반구와 남반구가 거의 대칭을 이루면서 순환한다.

 

③ 아열대 순환 : 무역풍대의 해류와 편서풍대으 해류로 이루어진 순환을 말한다.

  • 북태평양 : 북적도 해류, 쿠로시오 해류, 캘리포니아 해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
  • 남태평양 : 남적도 해류, 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 남극 순환 해류, 페루 해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한다.
  • 북대서양 : 북적도 해류, 멕시코 해류, 북대서양 해류, 카나리아 해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
  • 남대서양 : 남적도 해류, 브라질 해류, 남극 순환 해류, 벵겔라 해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환한다.

④ 아한대 순환 : 편서풍대의 해류와 극동풍에 의한 해류가 이루는 순환으로, 대양이 육지로 막혀 있는 북반구에서만 나타난다.

 

⑤ 대양의 서쪽 연안을 따라 흐르는 해류는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동쪽에서 흐르는 해류에 비해 비교적 속도가 빠르다.

▶ 북태평양의 서쪽에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는 동쪽에서 흐르는 캘리포니아 해류에 비해 유속이 훨씬 빠르다.

 

⑥ 해수의 표층 순환은 지구의 자전, 대기 대순환, 대륙의 분포 등의 영향을 받아 이론적인 모형보다 훨씬 복잡하게 나타난다.

 



(4) 해류의 역할

① 해류는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며, 전 세계의 기후와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② 멕시코 만류는 고위도에 위치한 레이캬비크의 겨울철 기후를 상대적으로 온화하게 해주지만, 저위도에 위치한 뉴욕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흐른다. 또한 뉴욕은 대륙의 동안에 위치하여 겨울철 평균 기온이 레이캬비크보다 낮다.

 

※ 표층 순환

해양의 표층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어나는 해수의 순환으로 아열대 순환,아한대 순환 등이 있다.

 

(5)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

① 난류 : 우리나라 주변 난류의 근원은 쿠로시오 해류이다.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동중국행에서 갈라져 나와 북상하여 황해 난류,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 동한 난류를 형성한다.

  • 황해 난류 :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북상하다가 제주도 부근 해역에서 갈라져 황해의 중앙부 쪽으로 북상한다.
  •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 : 제주도 남동쪽에서 남해를 거쳐 대한 해협을 통과한 후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 동한 난류 : 대한 해협에서 대마 난류로부터 갈라져 나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한다. 동해에서 북한 한류와 만나 조경 수역을 형성한 후 동진하여 대마 난류와 다시 합류한다.

② 한류 : 우리나자 주변 한류의 근원은 오호츠크해에서 연해주를 따라 남하하는 연해주 한류이다.

  • 북한 한류는 연해주 한류의 지류로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다가 동한 난류와 만난다.

③ 난류와 한류의 특징 : 난류는 수온과 염분이 높고, 영양염과 용존 산소량이 적어 플랑크톤이 적은 반면, 한류는 수온과 염분이 낮고, 영야염과 산소량이 많아 플랑크톤이 많다.

 

※ 조경수역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곳으로 영양염, 플랑크톤, 용존 산소량이 풍부하여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