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지구의 복사 평형 : 지구는 흡수한 태양 복사 에너지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므로 지구의 평균 기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② 위도에 따른 열수지 : 위도에 따라 태양 복사 에너지의 흡수량과 지구 복사 에너지의 방출향이 차이가 난다.
③ 대기 대순환의 원인 : 지구 규모의 열에너지 이동을 일으키는 가장 큰 규모의 대기 순환으로, 위도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과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 차이에서 비롯된 에너지 불균형이 대기 대순환의 원인이다.
① 단일 세포 순환 모형(지표면이 균일하고 자전하지 않는 지구) : 적도 지방에는 상승 기류가, 극지방에는 하강 기류가 발달하여 북반구 지상에는 북풍만, 남반구 지상에는 남풍만 분다.
② 대기 대순환 모형(자전하는 지구) :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의 영향으로 각 반구에 3개의 순환 세포가 형성된다.
③ 직접 순환과 간접 순환 :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은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거나 냉각된 공기가 하강하면서 만들어진 열적 순환으로 직접 순환에 해당한다. 이해 비해 위도 30º ~ 60º 사이의 페렐 순환은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 사이에서 형성된 간접 순환이다.
※ 전향력
자전하는 지구에서 운동하는 물체에 나타나는 가상의 힘으로 북반구에서는 물체가 운동하는 방향의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물체가 운동하는 방향의 왼쪽으로 작용한다.
※ 대기 대순환
지구의 실제 대기 대순환은 지구 자전뿐만 아니라 대륙과 해양의 분포 등에 의해 이론적인 모형보다 훨씬 복잡하게 나타난다.
표층 해류는 육지로 가로막힌 대양 안에서 몇 개의 거대한 순환을 이루고 있으며, 적도 부근을 경계로 북반구와 남반구가 대체로 대칭적인 분포를 보인다.
① 해양은 대륙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동서 방향으로 흐르던 해류가 대륙과 부딪혀 남북 방행으로 갈라져 흐르면서 순환을 이룬다.
② 표층 순환은 적도 부근을 경계로 북반구와 남반구가 거의 대칭을 이루면서 순환한다.
③ 아열대 순환 : 무역풍대의 해류와 편서풍대으 해류로 이루어진 순환을 말한다.
④ 아한대 순환 : 편서풍대의 해류와 극동풍에 의한 해류가 이루는 순환으로, 대양이 육지로 막혀 있는 북반구에서만 나타난다.
⑤ 대양의 서쪽 연안을 따라 흐르는 해류는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동쪽에서 흐르는 해류에 비해 비교적 속도가 빠르다.
▶ 북태평양의 서쪽에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는 동쪽에서 흐르는 캘리포니아 해류에 비해 유속이 훨씬 빠르다.
⑥ 해수의 표층 순환은 지구의 자전, 대기 대순환, 대륙의 분포 등의 영향을 받아 이론적인 모형보다 훨씬 복잡하게 나타난다.
① 해류는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며, 전 세계의 기후와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② 멕시코 만류는 고위도에 위치한 레이캬비크의 겨울철 기후를 상대적으로 온화하게 해주지만, 저위도에 위치한 뉴욕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흐른다. 또한 뉴욕은 대륙의 동안에 위치하여 겨울철 평균 기온이 레이캬비크보다 낮다.
※ 표층 순환
해양의 표층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어나는 해수의 순환으로 아열대 순환,아한대 순환 등이 있다.
① 난류 : 우리나라 주변 난류의 근원은 쿠로시오 해류이다.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동중국행에서 갈라져 나와 북상하여 황해 난류, 대마 난류(쓰시마 난류), 동한 난류를 형성한다.
② 한류 : 우리나자 주변 한류의 근원은 오호츠크해에서 연해주를 따라 남하하는 연해주 한류이다.
③ 난류와 한류의 특징 : 난류는 수온과 염분이 높고, 영양염과 용존 산소량이 적어 플랑크톤이 적은 반면, 한류는 수온과 염분이 낮고, 영야염과 산소량이 많아 플랑크톤이 많다.
※ 조경수역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곳으로 영양염, 플랑크톤, 용존 산소량이 풍부하여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