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별은 밀도가 크고 온도가 낮은 성운에서 탄생한다. 거대한 성운이 수축하면 성운의 밀도가 점점 커지고 기체 원반이 형성되며, 성운의 중심부에서는 중력 수축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고 밀도가 커짐에 따라 원시별이 생성된다.
② 원시별이 중력 수축하여 내부 온도가 높아지고, 표면 온도가 약 1000K에 이르면 가시광선을 방출하기 시작한다.
③ 원시별이 중력 수축을 계속하여 중심부 온도가 약 1000만K이 되면 중심부넹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주계성이 된다.
▶ 질량이 큰 원시별은 대체로 H-R도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수평 방향으로 진화하여 주계열성에 도달하고, 질량이 작은 원시별은 대체로 H-R도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수직 방향으로 진화하여 주계열성이 된다.
④ 질량이 클수록 중력 수축이 빠르게 일어나 주계열성에 빨리 도달한다.
① 원시별의 중심부 온도가 약 1000만K에 이르면 별의 중심에서 일어나는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생성한다.
② 수소 핵융합 반응에 의해 별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기체 압력이 커지면 별의 중력과 내부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루는 정역학 평형 상태에 도달하고, 별의 반지름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③ 별의 일생 중 약 90%를 머무르는 가장 안정적인 단계로, 관측되는 별 중에서는 주계열성이 가장 많다. 질량이 큰 별일수록 중심부의 온도가 높아 수소 핵융합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 수소를 빨리 소비하기 때문에 별이 주계열 단계에 머무르는 기간이 짧아진다.
분광형 | 색지수 (B-A) |
표면 온도 (K) |
반지름 (태양반지름=1) |
질량 (태양 질량=1) |
광도 (태양 광도=1) |
주계열성의 수명(년) |
O5Ⅴ | -0.33 | 40000 | 12 | 40 | 500000 | 100만 |
B0Ⅴ | -0.30 | 28000 | 7 | 18 | 20000 | 1000만 |
A0Ⅴ | 0.0 | 10000 | 2.5 | 3.2 | 80 | 5억 |
F0Ⅴ | +0.30 | 7400 | 1.3 | 1.7 | 6 | 27억 |
G0Ⅴ | +0.58 | 6000 | 1.05 | 1.1 | 1.22 | 90억 |
K0Ⅴ | +0.81 | 4900 | 0.85 | 0.8 | 0.4 | 140억 |
M0Ⅴ | +1.40 | 3500 | 0.6 | 0.5 | 0.06 | 2000억 |
④ 주계열성의 질량-광도 단계 : 주계열성은 질랴이 큰 별일수록 광도가 크다.
▶ 주계열성의 겉보기 등급을 관측하고 별까지를 이용하여 절대 등급을 구하면, 질량-광도 관계를 이용하여 별의 질량을 간접적으로 구할 수 있다.
⑤ 주계열성의 질량-반지름 관계 : 주계열성의 경우 질량이 큰 별일수록 반지름이 크다.
① 별의 중심핵에서 핵융합 반응에 사용되는 수소가 고갈되면 별은 주계열 단계를 벗어난다.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멈추면 별의 중력과 평형을 이루던 기체 압력 차에 의한 힘이 감소하여 중심부는 수축한다.
② 중심부가 수축할 때 발생한 열에너지에 의해 중심부 바로 바깥쪽에서 수소 핵융합 븐응이 일어나고, 이때 발생한 열에너지에 의해 별의 바깥층이 팽창하면서 별의 크기가 커진다.
③ 별의 크기가 커지면서 광도가 급격히 커지지만 표면 온도가 낮아져 붉은색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별을 적색 거성, 적색 초거성이라고 한다.
④ 질량이 태양과 비슷한 별이 주계열 단계를 떠나면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고, 질량이 태양보다 매우 큰 별이 주계열 단계를 떠나면 적색 거성보다 반지름과 광도가 크게 증가하여 반지름은 태양의 수백 배 이상, 광도는 태양의 수만 배~수십만 배인 적색 초거성이 되고, H-R도의 오른쪽 맨 위쪽으로 이동한다.
※ 주계열의 단계
별의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이다. 별의 일생 중 가장 길고 안정적인 단계이다.
① 질량이 태양과 비슷한 별의 진화
② 질량이 매우 큰 별의 진화
※ 별의 진화
주계열 이후의 단계는 별의 질량에 따라 진화 경로가 달라진다.
외계행성계와 외계 생명체탐사_외계행성계 탐사 (0) | 2020.06.26 |
---|---|
별의 특성_별의 에너지원과 내부 구조 (0) | 2020.06.25 |
별의 특성_H-R도와 별의 종류 (0) | 2020.06.22 |
별의 특성_별의 물리량 (0) | 2020.06.19 |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_기후 변화의 영향 (0) | 2020.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