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의 운동(1)_천체의 위치와 좌표계
1. 천체의 위치와 좌표계
(1) 지구 상의 위치와 시각
① 위도와 경도
- 위도 : 자전축에 수직인 원 중 반지름이 가장 큰 원인 적도를 0º로 하고, 북쪽과 남쪽을 북위 90º와 남위 90º까지 나타낸다.
- 경도 :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경선을 기준으로 어떤 위치를 지나는 경선이 이루는 각을 동쪽으로는 경선, 서쪽으로는 서경을 180º까지 나타낸다.
② 방위와 시각
- 방위 : 같은 경도선 상의 북극 방향이 북쪽, 그 반대편이 남쪽이며 북극을 바라보고 있을 때 같은 위도 상의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다.
- 시각 : 하루 중 태양이 정남쪽에 있을 의 시각을 12시로 정하며, 현재 전 세계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을 경도에 따른 표준시를 사용한다.
※ 그리니치 천문대
1675년 영국 런던 그리니치에 설립된 천문대로 1884년 워싱턴 국제 회의에서 이 천문대를 지나는 경선을 경도와 시각의 기점으로 정하였다.
(2) 천체의 좌표계
① 천구 : 관측자를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이 무한대인 가상의 구이다. 천구의 중심에 있는 관측자에게 천체가 천구에 투영되어 보이므로 천체의 위치는 거리에 관계없이 방향만으로 표시된다.
② 천구의 기준점
- 천정과 천저 : 관측자를 지나는 연직선이 천구와 만나는 두 점 중 위를 천정, 아래를 천저라고 한다.
- 천구의 북극과 남극 : 지구의 자전축을 연장할 때 천구와 만나는 두 점을 천구의 북극과 남극이라고 한다.
- 북점과 남점 : 천구의 북극과 천정을 지나는 대원(자오선)이 천구의 북극 방향에서 지평선과 만나는 지점을 북점, 그반대편을 남점이라고 한다.
- 동점과 서점 : 천구의 적도와 지평선이 만나는 두 점으로, 북점을 바라볼 때 지평선을 다라 오른족으로 90º가 되는 지점을 동점, 지평선을 따라 왼쪽으로 90º가 되는 지점을 서점이라고 한다.
③ 천구의 기준선
- 천구의 적도 : 지구의 적도를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대원이다.
- 지평선 : 관측자가 서 있는 지평면을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대원이다.
- 시간권 : 천구의 북극과 남극을 지나는 천구 상의 대원이다.
- 수직권 : 천정과 천저를 지나는 천구 상의 대원이다.
- 자오선 : 천구의 북극과 남극, 천정과 천저를 동시에 지나는 천구 상의 대원으로, 시간권이면서 수직권이다.
④ 지평 좌표계 : 북점(또는 남점)을 기준으로 하는 방위각과, 지평선을 기준으로 하는 고도로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계이다.
- 방위각 : 북점(또는 남점)으로부터 지평선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천체를 지나는 수직권까지 잰 각으로 0º ~ 360º의 값을 갖는다.
- 고도 : 지평선에서 수직권을 다라 천체까지 측정한 각으로 0º ~ 90º의 값을 갖는다.
- 천정 거리 : 천정에서 수직권을 따라 천체까지 잰 각으로 [천정거리 = (90º - 고도)]이다.
- 지평 좌표계의 특징 : 관측자 중심의 좌표계이므로 천체의 위치를 쉽게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관측자의 위치가 달라지면 지평면이 달라지므로 방위각과 고도의 값이 달라진다. 또한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방위각과 고도가 계속 달라진다.
구분 | 방위각 | 고도 | ||
기준점(출발점) | 북점(또는 남점) | 지평선과 수직권의 교점 | ||
측정 방향 | 시계 방향 | 출발점에서 천정 쪽 | ||
범위 | 0º ~ 360º | 0º ~ 90º | ||
예 | 북점 | 0º | 천정 | 90º |
동점 | 90º | |||
남점 | 180º | 지평선 상의 지점 | 0º | |
서점 | 270º |
⑤ 적도 좌표계 : 춘분점을 기주으로 하는 적경과, 천구의 적도 기준으로 하는 적위로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계이다.
- 적경 : 춘분점을 기준으로 천구의 적도를 따라 천체를 지나는 시간권까지 시계 반대 방향(서 -> 동)으로 잰 각으로 , 15º를 1로 환산하여 0~24로 나타낸다.
- 적위 : 천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시간권을 따라 천체까지 잰 각으로 0º ~ ±90º의 값을 가지며, 천체가 천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북반구에 있을 대는(+), 남반구에 있을 때는(-) 값으로 나타낸다.
- 적도 좌표계의 특징 : 관측 장소나 시각의 변화와 관계없이 천체의 위치가 일정한 값으로 표현되므로, 별들의 목록이나 성도를 작성하는 데 이용된다.
구분 | 적경 | 적위 | |
기준점(출발점) | 춘분점 | 천구의 적도와 시간권의 교점 | |
측정 방향 | 서 -> 동 방향 | 출발점에서 천구의 북극 또는 남극 쪽 | |
범위 | 0~24 | 0º ~ ±90º | |
예 | 춘분점 | 0 | 0º |
하지점 | 6 | +23.5º | |
추분점 | 12 | 0º | |
동지점 | 18 | -23.5º |
※ 적도 좌표계와 위도, 경도
적도 좌표계는 지구의 위도와 경도를 그대로 천구 상에 투영한 것이다. 적경과 적위는 각각 경도와 위도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 적경과 적위
적도 좌표계에서 천체의 적경과 적위 값은 관측자의 위치나 시각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지만, 지구와 태양계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으므로 태양과 태양계 천체들의 적경과 적위 값은 매일 조금씩 달라진다.
⑥ 천체의 남중 고도
- 남중 고도 : 천체가 남쪽 자오선에 위치할 때 천체의 고도이다.
- 남중 고도는 천체의 적위와 관측자의 위도에 따라 달라린다.
- 태양의 남중고도(북반구 중위도)
- 춘분날(추분날) : 태양의 적위가 0º이고, 태양이 천구의 적도에 위치하여 정동쪽에서 떠서 정서쪽으로 진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 하짓날 : 적위가 +23.5º이고 남중 고도가 가장 높다. 태양이 북동쪽에서 떠서 북서쪽으로 지며,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 동짓날 : 태양의 적위가 -23.5º이고 남중 고도가 가장 낮다. 태야잉 남동쪽에서 떠서 남서쪽으로 지며,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다.
구분 | 시기 | 태양의 적경 | 태양의 적위 |
추분 | 3월 21일경 | 0 | 0º |
하지 | 6월 22일경 | 6 | +23.5º |
추분 | 9월 23일경 | 12 | 0º |
동지 | 12월 22일경 | 18 | -23.5º |
※ 북극성의 고도
어느 지역에서 북극성의 고도는 그 지역의 위도와 같으며, 천체의 일주권은 천구의 적도와 나란하다.